1%
[영상편집] Day13리뷰_인제스트, 코덱, 제작편집 정리
신씨드
2023. 1. 30. 17:39
[영상편집]

*융합하는 과정




- 코덱 <<< 인제스트, 프록시 / 제작편집 정리
- 메타데이터(코덱, 포맷)
- ***'인제스트 ingest': 아날로그를 디지털로 '변환'하는 모든 일련의 과정
- 파일 용량: 화질 <<< 용량 많 > 속도 저하 | 용량 적 > 속도 가속
- 작은 용량, 고화질, 속도 빠르게
- 파일의 성질: 원본 > (변환 - 인제스트) > 코덱 (H.264/H.265_4k이상/prores_맥 자체 코덱)
- **인코더, 인코딩(코덱을 인코더로 변환하는 과정)
- 플레이어
- 파일의 유형: 컨테이너 (.mp4, .mov 차이)
- 오디오: .mp3 (mpeg) / .aac(무료) / .ac3(유료)
- 이미지: JPG:이미지 만들때 부드러운 곡선 만들어 내는 거 가능. | PNG: 벡터 이미지 할때 안깨짐. 알파채널이 있음(로고) |.targa: 알파채널 있음(로고)
*** 인제스트 작업이 필요한 경우 (코덱 설정*)<<<< adobe encoder
- 파일 유형 변환
- 대용량 > 저용량 변환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원본파일의 변화가 있음
3. *프록시(proxy) 파일을 활용: 가상파일 (대용량 > 저용량 프록시파일 생성)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원본파일의 변화가 없음




샷 구도에 따라 drawing, 카메라 방향은 화살표로 표시


리듬=호흡 -> 재미







영상, 오디오, 이미지

AVI=화질은 좋으나,용량이 너무큼 | WMV=window media video(윈도우용, 가볍지만 mp4보다 화질이 낮음)
- 영상설정
- 해상도
- 필드/주사방식
- 프레임레이트
- 픽셀

세로값을 기준으로!! 16:9(1920:1080 or 1440:1080)


- 프레임레이트가 클 수록, 용량도 좋아지고 화질도 좋아짐


i,p 주사방식 (progressive방식이 동일한 조건이라면 progressive가 조금 더 화질이 좋아보임)





방송용 세팅 29.97

신서유기 같은 콘텐츠 세팅(곱하기 2)